서울 시민이라면 이제 버스를 탈 때 교통카드를 꺼낼 필요가 없습니다. 오는 10월부터 서울 시내버스에 ‘티머니 태그리스 결제’가 시범 도입되기 때문인데요. 이 혁신적인 결제 시스템이 무엇인지, 어떻게 사용하는지, 그리고 실제 이용 시 알아두면 좋은 팁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.
태그리스란?
태그리스(Tagless) 결제는 말 그대로 교통카드나 스마트폰을 단말기에 ‘태그(tag)’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방식입니다. 스마트폰의 BLE(Bluetooth Low Energy, 저전력 블루투스) 기술을 활용해 주머니나 가방 속에 스마트폰을 넣어둔 채로도 승·하차 시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죠. 특히, 복잡한 버스 승하차 환경에서도 스마트폰의 위치와 블루투스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승차, 재차, 하차 상황을 정확히 인식해 요금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태그리스 결제방법 알아보기
지하철 태그리스 결제 흐름
지하철에서는 스마트폰과 게이트가 BLE로 실시간 통신하여 아래 절차로 자동 결제가 이루어집니다.
1️⃣ 사용자가 지하철 게이트 접근 → 역사 정보 수신
2️⃣ 스마트폰과 태그리스 서버(가상 단말/가상 카드 시스템)가 양방향 사전 결제 요청
3️⃣ 진입 인식 → 플랩도어 개방
4️⃣ 사용자가 진출 시 하차 인식 및 결제 완료 요청
5️⃣ 결제 완료 후 앱에서 내역 확인 가능
버스 태그리스 결제 흐름
버스에서는 BLE 신호와 차량 내 비콘으로 사용자의 승하차를 인지하고 결제가 진행됩니다.
1️⃣ 사용자가 버스 탑승 시 스마트폰이 승차 인지
2️⃣ 모바일 → 태그리스 서버 양방향 자동 결제 요청
3️⃣ 서버에서 결제 결과를 버스 단말기에 전송
4️⃣ 승차 중 재차 인지로 상태 유지
5️⃣ 하차 시 BLE로 하차 인지 및 결제 처리
6️⃣ 결제 완료 후 앱에서 결과 확인 가능
태그리스 사용법
태그리스 결제는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간단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사용 방법
- 모바일티머니 앱 설치 (Google Play, App Store)
- 앱 실행 후 ‘태그리스 결제 사용하기’ 메뉴 선택
- BLE 기능 활성화 및 위치 접근 권한 허용
- 설정 완료 후 스마트폰은 주머니나 가방 속에 넣고 탑승
태그리스의 장점
태그리스 결제는 단순한 편리함 이상의 가치를 제공합니다.
- 두 손이 자유로움: 비가 오거나 짐을 들고 있을 때도 걱정 없이 탑승
- 교통약자 친화적: 어린이, 노약자, 목발 사용자에게 적합
- 안전성 증가: 하차 전에 미리 일어서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 예방
- 태그 실수 방지: 깜빡하고 태그하지 않아 추가 요금이 부과되는 상황 감소
태그리스 유의사항
태그리스 결제는 매우 편리하지만, 몇 가지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.
- 블루투스 꺼짐, 위치 비활성화 시 결제 실패 가능
- 동일 계정으로 여러 기기 등록 시 이중 결제 위험
- 태그리스 미지원 버스에서는 기존 태그 방식 사용 필요
- BLE 연결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앱의 상태 표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.
서울 시내버스 태그리스 결제는 대한민국 대중교통의 새로운 표준이 될 기술입니다. 버스와 지하철 모두에서 구현되면 시민 누구나 더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 환경을 누릴 수 있겠죠? 모바일티머니 앱만 있으면 준비 끝! 오늘 바로 설정해보세요.
'정보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종 조치원 복숭아축제 즐기기 (초대가수, 워터밤, 블랙이글스 에어쇼, 주차, 셔틀버스까지) (1) | 2025.07.11 |
---|---|
대전 0시 축제와 함께하는 관광지 선착순 50% 할인 대전 가보자 GO! (오월드, 아쿠아리움, 도자기클래스) (1) | 2025.07.11 |
대전 꿈돌이 라면, 한 달 만에 50만 개 판매! 어디서 살까? 가격부터 판매처까지 총정리 (1) | 2025.07.09 |
해양치유 완도 전국 맨발 걷기 축제 참가 신청 / 일정 알아보기 (+ 명사십리 해수욕장 ) (2) | 2025.07.07 |
출국납부금 환급금! 출국납부금 환급 서비스 대상 확인하고 3분이면 신청 가능! (+홈페이지, 신청방법) (0) | 2025.07.04 |
무더위를 부탁해! 2025 브랜드별 컵빙수 비교, 추천, 가격 (+메가, 컴포즈,이디야) (2) | 2025.07.03 |
도카라의 법칙? 일본 7월 5일 대지진설, 과연 만화 예언의 과학적 근거는? 일본여행 지진 알림앱 추천 (1) | 2025.06.30 |
7월 5일 일본 지진 예언? 만화 작가 타츠키료 해명과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 (0) | 2025.06.25 |